외상센터 소개
외상치료체계
다발성 외상환자 대응체계
외상팀 활성화 기준
- 생리학적 기준
-
- A.기도폐쇄/호흡 저하
- B.도착 전 기도 삽관 상태
- C.호흡수<10회/분 또는>29회/분
- D.수축기 혈압<90mmHg
수축기 혈압 나이 별 mmHg의 정보를 제공하는 표
나이 |
S8P(mmHg) |
<1세 |
<60 |
1 - 10세 |
<70 + 2 X 나이 |
>10세 |
<90 |
- E.GCS ≥ 13 또는 AVPU 의식수준 'P' 이하
- F.활력 징후 유지를 위해 수혈하면서 전원된 환자
- G.안정된 환자에게서 상태 악화
- 해부학적 기준
-
- A.관통상
- ①두경부, 흉부, 복부 관통상
- ②사지 : 팔꿈치 또는 무릎 상방 근위부 관통상
- B.흉부
- ①동요흉(Flail Chest)
- C.신경
- ①개방성 또는 함몰성 두개골정
- ②사지마비 또는 척수손상 의심
- D.정형
- ①골반골 골절
- ②두 개 이상의 근위부 장골 골절
- ③사지의 압궤/벗겨진/썰린 손상 또는 맥박 소실
- ④손목 또는 발목 상방 근위부 절단
- 손상기전
-
- A.자동차간의 충돌 사고에서 동승자 사망
- B.자동차간의 사고에서 차량에서 이탈 된 환자
- C.시속 60km 이상의 충돌 교통사고
- D.시속 30km 이상의 자동차와 보행자의 사고
- E.환자 구출에 20분 이상 소요
(자체 눌림 30cm 이상)
- F.오토바이, 자전거, 기타 탈 것 : 시속 30km 이상의 충돌 혹은 전복사고
- G.성인 6m 이상, 소아 3m 이상의 낙상
- H.폭발에 의한 손상
